Data Structure(3)
-
[TIL] 220413 - 자알 큐(queue), 데크(deque) 개념
2022/04/13 WED ☁️ ☑️ 융프2 프로젝트 계획안 ☑️ 파이게임 프로젝트 훑어보기 ... 테트리스로 확정 ☑️ 자료구조알고리즘 큐 정리 자료구조및알고리즘 ⬛️ 큐 - 단순연결리스트로 구현이 편리 큐는 " 삽입과 삭제가 양 끝에서 각각 수행되는 자료구조 "로, - 맨 앞에서 삭제, 맨 뒤에서 삽입이 일어난다. - 선입선출의 접근방법 기능 - enqueue(e) / add(e) : 삽입 - dequeue() / remove() -- 파라미터 없음 ! (맨 앞만 삭제 가능) - is_empty() : 비어있으면 true 반환 --cf> is_full 은 배열일 경우만 유효한데, 큐는 배열로 구현하기가 매우 비효율적이므로 생략. - peek() : 비어있지 않은 경우에 맨 앞 요소를 반환 - size..
2022.04.14 -
[JAVA] 기본 배열 [생성, 값 가져오기, 삽입/삭제 기능] 구현
아주 기본적인 배열의 기능들을 정리한 코드이다. 제목처럼 배열 생성부터 요청한 데이터 불러오기, 중간 또는 끝에 데이터를 삽입 또는 삭제하는 기능이다. 코드가 좀 길다. 처음부터 끝까지 이렇게 정리한 건 처음이라 코드가 좀 더러울 수 있다. myArray 제네릭 클래스에 (코드의 순서와 무관) 배열 (제네릭으로 형변환) 을 생성하는 메소드, 초기 배열에 값을 저장해주는 메소드, 현재 저장된 데이터 순서대로 출력하는 메소드, 현재 저장된 데이터 항목의 개수(size)를 반환하는 메소드, 해당 인덱스의 데이터를 가져오는 메소드, 끝/중간에 원소를 새로 삽입하는 메소드, 끝/중간의 원소를 삭제하는 메소드, 원소 삽입/삭제시 배열의 총 길이를 확대/축소하는 메소드 를 구현하였다. ▼ ▼ ▼ import java..
2022.03.30 -
[이코테] 부스러기: 방향벡터/ 스택, 큐, 재귀함수 for 탐색 알고리즘
#방향벡터 좌표 구현 문제에서 방향벡터를 이용하여 좌표를 이동시키기. 방향벡터란 방향을 나타내는 벡터. 예를 들어서 dx=[-1,1,0,0] dy=[0,0,-1,1] 각각의 i번째 원소를 현재 x,y 좌표에 각각 더해주면 이동이 됨. 또는 moves=[(-1,-1),(-1,0), ... ] 처럼 하나의 리스트로 나타낼 수도 있음. #탐색 탐색이란 많은 양의 데이터 중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과정 그래프 탐색 알고리즘 DFS/BFS -스택: 리스트로 구현. append(*), pop() 최상단 원소부터 출력 > print(list[::-1] 최하단 원소부터 출력 > print(list) -큐: 리스트로도 가능하나 비효율적. deque(덱) 라이브러리 이용 from collections import deq..
2022.02.25